싸우는 인문학

저자
강양구, 강유정, 강응천, 김원, 김태환 지음
출판사
반비 | 2013-01-25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한국 인문학의 최전선『싸우는 인문학』. 인문학의 정체는 도대체 ...
가격비교

 

출퇴근할 때 지하철을 많이 이용하는 편인데, 언젠가부터 사람이 내리기도 전에 자리에 먼저 앉겠다고 그 사이를 비집고 뛰어 드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되었습니다. 내가 자리에 앉으려면 내리는 사람이야 불편하건 어깨가 아프건 상관이 없어졌습니다. 하루는 토요일 아침에 지하철을 기다리던 중, 외국인 커플이 커다란 여행가방을 끌고 힘들게 내리는데, 그 잠깐의 시간을 기다리지 못하고 한 아저씨가 외국인의 몸을 바디체크하듯이 비집고 들어가 자리에 앉는 것을 보았습니다. 아침부터 기분이 상했을 그 커플에게 아저씨는 사과 한 마디 하지 않았고, 그 상황을 보고 있는 제가 다 부끄럽고 얼굴이 화끈거렸습니다.

길을 가다 보면 그 잠시의 시간을 기다리지 못하고 어린 아이의 손을 잡고 무단횡단을 하는 어른들을 이따금씩 보게 됩니다. 금연구역인 것을 알면서도 지하철 역사에서 담배에 불을 붙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남의 발을 밟거나 의도치않게 남의 몸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는 경우에도 미안하다는 말도 잘 안 합니다.

뉴스를 보면 더 가관입니다. 정치인들은 자신의 자리 보전을 위해 임시방편과 부화뇌동을 서슴치 않지요. 언론은 권력에 빌붙어 가십거리만을 만들어 내기에 급급합니다. 사회적 기능보다는 시청률을 올리는 것이 최고가 된 듯 한 모습은 언론이 아니라 그냥 방송이고 신문팔이나 다를 바 없어졌습니다. 공무원은 그냥 나라에 취직한 사람이고, 교육은 출세를 위한 도구로 전락한지 오래되었습니다.

 

이런 일들을 볼 때마다 느낍니다. 우리나라에서 인간다움이란 사치인가? 우리 사회는 어디로 가고 있으며,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여기에 대한 대답은 누가 줄 수 있을 것인가?

그러던 차에 이 책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저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을 수 있을까 싶어서 당장 도서관에 신청해서 이 책을 빌렸습니다.

 

25가지의 짤막한 이야기들로 구성된 이 책은 현재 인문학에 대한 진단을 내리고, 인문학이 가야 할 길이 무엇인가에 대한 이 시대 인문학자들의 고민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의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부 팔리는 인문학
스티브 잡스는 인문학적 CEO인가 서동진 계원예술대 디지털콘텐츠 교수
안철수는 인문학적 정치인인가 한보희 평론가
프랑스 철학은 왜 포퓰리즘이라는 의심을 받는가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동양 고전은 왜 처세서로 읽히는가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대학 교수
인문학에 관한 책들은 인문적인가 표정훈 한양대 기초융합교육원 교수
인문학 교실 붐, 어떤 성과를 냈나 노정태 서평가

2부 잃어버린 인문학

운동으로서 사회과학은 어떻게 되었나 김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과학부 교수
학문 언어로서 독일어는 사라졌는가 김태환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교수
심리학은 뇌과학에 자리를 내주어야 하는가 이남석 심리변화행동연구소 소장
인문학은 과학에 자리를 내주어야 하는가 이상헌 동국대 교양교육원 교수
대하 역사 소설은 여전히 가능한가 정영훈 경상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비평은 어떻게 전체에 대한 통찰을 회복할 것인가 우찬제 서강대 국문학과 교수
사회과학은 사회공학으로 남을 것인가 전상진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
차례와 지은이

3부 싸우는 인문학

마르크스주의를 대체할(계승할) 저항의 철학은 어떤 것인가 진태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교수
여성학은 성폭력 담론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했나 신상숙 서울대 여성연구소 교수
한국 현대 시는 어떤 힘을 가지고 있나 서둥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인문학은 한국 영화를 어떻게 변화시켰나 강유정 평론가
사도 바울은 왜 급진 정치 철학자로 각광받는가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인문학이 노동자의 무기가 될 수 있는가 강양구 《프레시안》 기자

4부 가능성의 인문학

새로운 민중 사학은 가능한가 강응천 출판 기획자
동양 현대 철학은 가능한가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대학 교수
한국에서 정신분석은 환자를 치료하는가 맹정현 정신분석클리닉 혜윰 원장
인문학자에게 지옥은 무엇인가 장석만 종교학자
번역의 정치학이 왜 필요한가 윤성우 한국외대 철학과 교수
SNS 시대, 인문학의 과제는 무엇인가 최정우 평론가

 

이 책은 인문학자들 뿐만 아니라 우리들의 고민의 시작이 되어야 하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위 차례를 보면 철학에서부터 종교/역사에 이르기까지 인문학이 고민해야 할 분야와 거리는 정말 무궁무진합니다. 그리고 그 고민을 같이 나누고 그에 따른 토론과 실천이 필요합니다.

그렇기에 강양구 기자의 글이 제일 머리에 남습니다. 일반인에게 처세술을 가르치는 인문학이 아니라, 일반인의 눈높이에서 그들이 처한 상황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만들어 주고 개인과 사회가 인간다움을 회복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인문학이 지금 우리에게는 필요한 게 아닐까요?  "개인의 힐링"보다는 사회의 부조리함을 꼬집고 이것을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게 아닐까요? 

 

국정원의 선거개입과 NLL 포기 논란을 보면서 느낍니다. 생존이 삶의 이유가 되어 버린 우리나라의 정치인과 언론을 보면서 이 나라의 구성원들은 무엇을 배울 수 있을 것이며 어디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을까요?

부디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이 당장의 생존을 위해 인간다움과 타인에 대한 존중을 잊지 않길,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고 살 수 있길 바랍니다. 그리고 이것이 가능한 사회가 되길 희망합니다. 사회의 부조리함을 꼬집고, 인간다움을 회복하는 그 길에 "싸우는 인문학"이 밑거름이 되길 희망합니다.

+ Recent posts